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36

블로그와 SNS에서 만들어지는 가상세계 인간관계 하루 6시간, 2일 12시간 강의 수강 얼마 전에 SNS 관련 강의를 들었다. 현장 강의였다. 모든 종류의 SNS가 다 소개됐다. 2일에 걸쳐 12시간이 넘는 시간을 썼다. 하루에 점심시간 30~40여분을 뺀 강행군이었다. 강사는 두 분이 커버했다. 첫날 강의자는 한 달 수익이 4억, 두 번째 날은 1인 미디어로 1년 매출이 44억이라고 했다. 건강보험료로만 연 280만 원을 낸단다. 참여대상은 15개 동에 걸쳐 동별 1인이었다. 그중엔 구 단위 활동가들도 포함됐다. 블로그와 sns 인간관계 들은 내용, 배운 내용은 엄청나다. 그중에서 가장 인상에 남는 것, 아니 워딩이 하나 있다. "진성 소통하지 말 것: SNS 또는 블로그에 진성 소통 또는 인맥이라는 건 없다. 언제든 떠날 준비가 되어있다." 나도 .. 2022. 8. 28.
다변, 관계를 망치는 금단의 사과 최근 강의를 많이 들었다. 뿐만 아니라 강의를 많이 기획했다. 강사들에 대해서 많이 배웠다. 수강생들의 태도에 대해서도 많이 경험했다. 강의는 대부분이 말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매개된다. 말이 참 중요하다는 걸 새삼 배웠다. 특히 말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는 걸 깨달았다. 그건 말의 형식과 내용이다. 말 지난 2년 간의 경험에서 배운 건 명확했다. 말은 관계를 살리기도 죽이기도 한다는 것. 나의 그런 경험이 물론 주관적일 수 있다. 그럴 수밖에 없다. 나는 일반적인, 보편적인 존재가 아니다. 수없이 많은 인간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또한 내가 일반적, 보편적인 것들을 말하기엔 경험이나 그릇이 보잘것없다. 그러니 경험들, 특히 나름 생생한 최근의 경험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다변의 폐해 말, 누구나 .. 2022. 8. 25.
용산국제업무지구, 변하고 있는 용산 한강대교를 건너면 용산이 나온다. 내가 용산에 첫발을 디뎠던 게 고1 때였다. 그리고 고교 졸업 후 그 동네 몇 번 갔었다. 중딩 동창 중 한 명이 잘 다니던 시골학교를 관두고 소위 서울 명문 사립으로 유학 갔었는데, 그 친구가 거기 있던 지 고모네서 삐대며 살고 있었다. 그러니까 그런 시절로부터 도대체 몇 년이 흐른 거냐! 그때는 한강대교를 건너면 우측에 시외버스터미널이 있었다. 지금은 거기에 트럼프월드란 주상복합과 모 통신사 사옥이 있다. 그 친구 고모가 그 시외터미널 담장 너머에 게딱지만 한 집을 갖고 계셨다. 마당도 있는 둥 없는 둥 플라스틱 지붕으로 덮어서 대낮에도 좀 어뒀었다. 당시에 속으로 그랬었다. "야~ 이렇게 좁은 데서 어찌 사냐?!" 지금? 지금은 거기 금값이다. 진짜 금값. 거기가 .. 2022. 8. 24.
스트레스 4, 스트레스 관리는 항암제 보다 더 좋은 항암방법 전문가들은 말한다. 암 환자의 자발적 스트레스 관리는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줄이고 신경전달물질의 과잉 분비를 감소시킨다. 그래서 암세포를 덜 자극하게 된다. 이는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죽은 암세포의 확장 전략을 누그러뜨려서 불필요한 전이를 막을 수 있다. 암 환자, 특히 4기 암환자도 한번 잘 살아볼 수 있다고. 스트레스 잘 관리해서 암세포랑 항쟁하기보다는 친하게 지내는 전략, 암세포들 너네들도 좀 천천히 자라고, 내 몸도 좀 덜 고단하게. 암 진단받은 것으로도 억울한 일이다. 그런데 스트레스로 암을 악화시킨다? 이건 천부당만부당한 일이다. 어떻게 그런 짓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전문가들은 적당한 스트레스는 삶의 의욕을 불러온다고 한다. 그런데 주위에서 본 암 환자들의 일부는.. 2022. 8. 23.
스트레스 3, 스트레스 강도와 전이암의 관계 스트레스는 콩팥 위 부신을 자극한다고 한다. 이 부신이 자극을 받으면? 아드레날린이 상승한다고 한다. 이게 상승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혈압도 상승한가고 한다. 그에 따라 당연히 에너지가 많이 필요할 테니 체내 에너지 수요가 폭증할 것이다. 뭐든 지나치면 좋은 게 없다고 하니 이 아드레날린이 폭증해서 좋을 게 뭐가 있을까! 스트레스 많은 암 환자, 생명 단축 재촉할 뿐이다. 코티졸, 스트레스 호르몬의 대표주자 격인 이 코티졸도 스트레스를 벋으면 과잉 분출을 시작한다고 한다. 코티졸이 과잉분출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전문가들의 자료에 의하면 혈당 증가, 뇌의 포도당 수요 증가, 손상된 조직의 과잉복구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 그런데 암 환자가 만성 스트레스 상태인 급성 스트레.. 2022. 8. 23.
스트레스 2, 암 진단 후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 난 암 진단 직후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다. 아마 나 말고도 암 진단을 받은 사람들 중 일부는 그냥 스트레스 또는 극심한 스트레스, 일시적 또는 만성적 스트레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받(았)을 거라 짐작한다. 난 극심한 스트레스를 일시적으로 받았다. 극심했던 것은 말기 직전의 상태로 진단받았기 때문이었고, 일시적이었던 이유는 스스로 스트레스를 관리했기 때문이었다. 말기 직전이란 어떤 상태일까? 우선 원발암의 정도가 심했다. 그다음으로 이미 폐로 전이됐다. 그것도 양쪽 폐로. 그 전이암 덩어리들의 숫자도 20여 개가 넘었다. 그 정도면 아마 몸 전체로 일정 양/수의 암세포들이 이미 퍼졌던 상태였을 거로 짐작한다. 아니나 다를까 5년 후 생다리뼈를 잘라냈다. 그래서 3번의 수술을 5년 이.. 2022. 8. 21.
스트레스1, 각종 질병과 암의 원인 50~80% 정도의 질병이 스트레스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돼있다고 한다. 특히 심장 질환의 경우는 더 그렇다고 한다. 고혈압, 각종 궤양도, 대장염도, 천식, 편두통, 각종 두통, 등 통증도 다 그렇다고 한다. 피부병, 불면증, 정신질환... 등도 마찬가지고. 하물며 암은? 암은 스트레스와 무관할까? 최근 내 몸의 상태를 보면, 항암제를 먹는 것보다 암환자인 나의 스트레스 강도를 낮추는 게 암의 확산을 늦추는 데 더 나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내가 요즘 항암제를 먹어도 스트레스를 받으니, 양쪽 폐에 물안개처럼 있는 전이암 덩어리들 중, 왼쪽 폐에 있는 대장 암덩어리들이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항암제 아무리 먹어봤자 스트레스에 내 정신이 포로로 잡히면 꽝이다. 한 달분 항암제가 얼마냐? 그 비싼 게 무용지물.. 2022. 8. 19.
728x90
반응형